온빛지기 2018-09-12 19:52:57
0 239

30001212.jpg

 

 

 

<감정의 치유력>

     다이애나 포샤. 다니얼 시겔. 매리언 솔로몬 외 지음 / 노경선. 김건종 옮김

 

 

  영아와 의미 형성

 감정에 대한 나의 견해는 영아들과의 작업을 통해 발전하였다. 프로이트는 영아를 현실과 접촉하지 않고 어떤 의도도 없는 , 내적 과정에만 반응하는 혼란스러운 존재로 보았다. 프로이트의 이러한 견해는 윌리엄제임스와 일맥상통하지만 찰스 다윈이나 멜라니 클라인의 생각은 달랐다 프로이트 식의 견해는 1980년대 까지도 받아들여졌고 영아에게 언어나 명시적 기억, 그리고 인지적 과정이 결여되어 있다는 생각과 함께 오늘날에도 여전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피아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그는 감정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는 않았지만 의미와 적응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영유아가 감각운동적의미를 만들어 낸다고 보았다. 이때 세상의 사물은 유아가 그것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따라 의미를 띠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모두 입으로 빨 수 있기 때문이다. 대상의 의미는 그것으로 수행할 수 있는 행위를 의미하기에 앞의 대상들은 모두 '빨 수 있는 것'으로 범주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딸랑이와 열쇠는 흔들 수 있지만 병과 가슴은 그럴 수 없는 것처럼 영아가 새로운 운동 능력을 발달시키면서 의미도 변화한다. 향후 발달의 도정에서 다른 과정들이 운동 과정을 능가하면서 결국 성인기에는 언어와 상징화 및 추상화가 이를 대체할 것이다. 그렇지만 성인인 우리는 이미 상징적, 추상적, 언어적, 서술적 세계관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사물을 사물로서가 아니라 그것에 부여된 행동-유아에게 적용되는 사물의 의미로서, 브루너 식으로 표현하면 말 그대로 의미의 행위-으로 사고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

.......

 

상호주관적 경험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콜윈 트레바튼과 다니엘 스턴은 인간 발달에서 상호주관적 경험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들의 이론과 연구는 신경학적 연구에 의해 확실히 뒷받침되었다 트레바튼과 스턴 등은 부모가 영아의 감정과 행동 표현에 주목하고 자잘적 표현과 함께 민감하게 반응해 줄 때 영아의 발달이 훨씬 촉진된다는 것을 증명했다. 유아가 자발적으로 반응할 때 양육자의 표현 역시 힘을 얻고 늘어난다. 이러한 상호작용이 상보적 양상을 띠고 있기에, 유아는 양육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신이 '행위의 주체라는 느낌'을 발달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양육자가 자신의 표현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를 경험함으로써 자신이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도 알 수 있게 된다. 양육자의 경험을 체험하면서 아이 역시 서로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조직하는 것이다. 양육자가 아이와 상호작용하면서 흥미와 즐거움, 사랑과 기쁨을 느낀다면 그만큼 아이도 스스로가 재미있고, 기쁨에 넘치고, 사랑 받을 만하고, 유쾌한 사람이라고 느끼게 된다. 반면, 양육자가 짜증과 혐오 그리고 지루함을 느낀다면 아이 역시 자신을 짜증을 불러일이키고, 혐오스럽고, 지루한 존재라 여기게 된다.

  이에 따라 계속적으로 흐르고 변화하면서 일정한 리듬으로 움직이는 아이의 정서 상태는 부분적으로나마 조금씩 자기의 특정한 감정 경험으로 조직화된다. 이렇게 새롭게 형성되는 자기의 특정 양상과 연관된 감정들은 가장 흔하게는 바로 부모가 그러한 특정한 자기 상태에서 어떤 감정 경험을 하느냐에 기초하여 형성된다.이렇게 유아의 감정 상태는 상호주관적 경험 속에서 발달하며 이는 특히 발달 초기에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고 영향을 받는다. 즉 새롭게 출현하고 있는 아이의 감정 경험이 부모의 아이에 대한 감정 경험을 중심으로 조직화되는 것이다. 최적의 감정 발달을 위해 각 개인은 이러한 섬세하고 상호주관적인 감정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키고 이에 동화될 수 있어야 한다. 자라면서 아이들은 조금씩 이를 더 잘 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특히 부모가 아의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 아이에 대한 자신의 감정 경험을 아이에게 전달할 수 있을 때 수월해진다. 또한 부모의 상호주관적 입장이 즐거움과 수용성, 호기심과 공감에 기반하여 있을 때 아이의 능력은 더 향상된다. ......